티스토리 뷰
2023년 4월 13일 기준
S&P500 EPS 추정치 는?
애널리스트들은 매주 목요일 S&P500 EPS 에대한 추정치 전망치 등을 공개합니다. 현재까지는 아직도 2023년 2분기부터 전분기 대비 기업실적이 개선될거고 4분기까지 계속 증가할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정말 이러한 전망치 대로 나올려면 경기침체 따위는 없어야 하고,, 사실 고금리 상태도 아니였어야 하고 인플레이션도 없었어야 하지만,
애널리스트들은 거짓말을 하고 있는건지 계속 희망회로를 열심히 돌리고 있습니다.
S&P 500 FWD PER 은 4월13일 기준으로 18.3배 였고 14일에 소폭 주가가 내렸다구 해도 18.2배 일듯보입니다.
아무튼 5년평균 18.5배를 코앞에 두고 있기 때문에 저는 금요일에 주가가 오르면 무조건 롱 매도를 권했습니다.
2022년도 EPS 최종 219.19 로 완료
2023년도 EPS 추정 220.12 로 전망
여전히 제로성장대를 유지중입니다.
보통 이럴때는 마이너스 성장이 유력해 보이는데,, 아무튼 이제서야 1분기 기업실적을 보는거니깐
1분기 추정치 50.34
2분기 추정치 54.18
3분기 추정치 56.61
4분기 추정치 58.14
정말 이런 식으로 EPS 가 증가된다면 지금부터 담아야죠?
근데 왜 미국 큰 증권사는 담지 않을까요?
주식은 선반영이라면서.. 뭐 아무튼 그렇다구 합니다.
현재 테크주 섹터 PER 이 5년평균과10년평균을 모두 훌쩍 뛰어넘어서 오버슈팅중입니다.
하루하루 단타를 한다는 전제하에 현재 트레이딩을 한다면 모를까
지금 상황에서 장투한다구 QQQ ETF 를 매수하기엔 부담스럽습니다.
※ 전 개별주는 분석하지 않기 때문에 개별주는 잘 몰라요
2023년 2분기부터 기업실적이 좋아질려면?
첫번째 :: 자사주매입은 전분기 대비 크게 줄어들지 않아야 하며 (고금리 상태인데 크게 증가는 불가능해보임)
두번째 :: 매출도 크게 줄어들지 말아야 함 반대로 매출은 늘어야 합니다. (그렇다는건 인플레이션이 전혀 안잡힌다는 소리)
기업실적이 어느정도 버텨준다? 인플레이션은 잡히지 않는다?
FED 는 긴축과 고금리 유지를 계속 이어간다
그러면서 어디선가 문제가 발생을 하고 봉합수술을 하지만
기업들은 크게 성장을 못한다.
WHY ?
매출이 늘어난다는건 소비자들이 소비를 계속 한다는거니깐
FED 는 소비가 식길 원하니깐
'미국주식 이야기 > 미국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 대표지수 S&P500 PER 적정수준은 역사를 공부해보자 (2) | 2023.04.17 |
---|---|
미국 GDP 를 예측하는 사이트 경제지표 발표를 단기적 주가 방향으로 보면 안되는 이유 (0) | 2023.04.12 |
2023년 1분기 S&P500 배당금 관련 업데이트 (0) | 2023.04.11 |
2023년 1분기 미국기업 실적전망치 S&P500 기준 월가 애널리스트 추정치 (2) | 2023.04.11 |
2022년 6월 미국주식 주요일정 FOMC 물가지수 발표 및 휴장일 (0) | 2022.05.30 |